기르는 야생동물을 온라인에서 자랑하는 문화는 소비층을 넓혀 가는 야생동물 산업과 온라인 ‘자랑 문화’의 결합으로 최근 10여년 동안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것 자체가 상품이 되는 ‘주목 경제’의 폐해는 비단 인간에게만 나타나는 것이 아닙니다. 무엇이든 더 자극적인 콘텐츠를 자랑하는 사회에서, 거래 대상이 되는 야생동물들은 수백만 년 진화해온 환경으로부터 납치되어 인간이 만든 감금시설에 갇히고 있습니다.
야생동물의 의미는 다양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동물복지 관점에서 야생동물종과 가축종의 가장 중요한 차이는 ‘진화’ 과정에서 옵니다. 개, 고양이, 소, 돼지, 닭과 같은 가축종은 인간이 사육하는 환경에 수천 년에서 수만 년 동안 놓인 채로 진화했습니다. 그것을 ‘가축화’라고 합니다. 반면, 야생동물은 ‘가축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동물을 말합니다. 인간은 수없이 많은 종을 가축화하려 했지만, 수십 종을 제외하면 인간이 가하는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가축화에 실패했습니다. 사람이 기르기에 적절하지 않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많은 국가들은 ‘백색목록’을 지정해 야생동물 거래를 엄격히 제한하거나 그럴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키우면 안 되는 동물’을 정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키워도 되는 동물’을 몇 종만 정하는 것이 이 백색목록 제도의 취지입니다. 야생동물은 기르거나 거래하면 안 된다는 전제가 이 제도의 핵심입니다. 한국 정부도 2022년 <야생생물법> 개정으로 이 ‘백색목록’을 도입하기로 정하고 제도를 만드는 중입니다.
그러나 지난 8월 16일 환경부와 생물자원관이 개최한 ‘백색목록 구축 이해관계자 간담회’에서 백색목록에 들어갈 종의 평가 기준을 확인하고 깜짝 놀랄 수밖에 없었습니다. 애초의 취지로는 '동물복지와 사육 난이도', '안전성', '공중보건 위해성', '생태계 위해성', '종 보전 위해성'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했으나, 연구용역 과정에서 환경부와 생물자원관은 ‘동물복지’라는 기준을 통째로 들어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정부는 오직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지와 생태교란가능성 정도만 기준에 포함시켰고, 길러도 되는 야생동물을 정하는 데에 ‘인간의 환경에서 잘 살 수 있는 동물인가’는 평가 기준으로 삼지 않겠다는 주장이었습니다.
현장에 토론 패널로 참여한 곰보금자리프로젝트는 ‘동물복지’가 백색목록 지정종 평가기준으로 들어가야 한다고 열심히 주장했습니다. 최초 취지대로 인위적 사육 방식에서 동물의 ‘삶의 질’이 보장될 수 있는가를 기준으로 삼아야 하는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공무원들은 동물복지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고, 그저 들여온 야생동물을 잘 키울 수 있게만 하면 된다는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사실 간담회장에는 ‘백색목록’ 자체에 항의하는 야생동물 산업 종사자들이 가득했고, 정부 관계자는 그들을 다독이는 데에 훨씬 집중하고 있었습니다.
야생동물을 식용이나 애완동물로 기르는 산업은 야생동물에게 재앙적입니다. 어릴 때 동네에서 개구리를 잡아 기르는 상황과 ‘산업’이 형성되어 해외에서 다양한 종을 수입하고 번식해서 판매하는 상황은 동물에게 완전히 다른 결과로 나타납니다. 산업에서 ‘상품’이 되는 동물은 예외 없이 고통받습니다. 이윤을 창출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가축종에서도 마찬가지이지만 야생동물종은 그 고통이 훨씬 큽니다. 그 고통을 얼마나 헤아릴 것인가가 이 산업의 존망을 가를 것입니다.
‘백색목록’ 지정평가기준을 만드는 일은 야생동물을 ‘상품화’하는 ‘산업’을 국가가 어느 만큼 인정할 것이냐를 정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저희는 무척 중요하게 보고 있습니다. 아직 연구용역이 진행 중이라 ‘동물복지’가 평가기준이 될 가능성은 아직 남아있습니다. 사육곰 산업이 철 지난 사업이고 나쁜 산업으로 인정되어 철폐를 앞둔 상황에서 우리는 배워야 합니다. 야생동물을 돈벌이 수단으로 삼는 산업은 결국 없어져야 합니다. 인간과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야생동물에게 존엄과 삶의 질 모두를 빼앗는 일이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백색목록은 최소한의 동물종만 포함되어야 하고, ‘동물복지’도 그 주요한 기준이어야 합니다.
기르는 야생동물을 온라인에서 자랑하는 문화는 소비층을 넓혀 가는 야생동물 산업과 온라인 ‘자랑 문화’의 결합으로 최근 10여년 동안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것 자체가 상품이 되는 ‘주목 경제’의 폐해는 비단 인간에게만 나타나는 것이 아닙니다. 무엇이든 더 자극적인 콘텐츠를 자랑하는 사회에서, 거래 대상이 되는 야생동물들은 수백만 년 진화해온 환경으로부터 납치되어 인간이 만든 감금시설에 갇히고 있습니다.
야생동물의 의미는 다양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동물복지 관점에서 야생동물종과 가축종의 가장 중요한 차이는 ‘진화’ 과정에서 옵니다. 개, 고양이, 소, 돼지, 닭과 같은 가축종은 인간이 사육하는 환경에 수천 년에서 수만 년 동안 놓인 채로 진화했습니다. 그것을 ‘가축화’라고 합니다. 반면, 야생동물은 ‘가축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동물을 말합니다. 인간은 수없이 많은 종을 가축화하려 했지만, 수십 종을 제외하면 인간이 가하는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가축화에 실패했습니다. 사람이 기르기에 적절하지 않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많은 국가들은 ‘백색목록’을 지정해 야생동물 거래를 엄격히 제한하거나 그럴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키우면 안 되는 동물’을 정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키워도 되는 동물’을 몇 종만 정하는 것이 이 백색목록 제도의 취지입니다. 야생동물은 기르거나 거래하면 안 된다는 전제가 이 제도의 핵심입니다. 한국 정부도 2022년 <야생생물법> 개정으로 이 ‘백색목록’을 도입하기로 정하고 제도를 만드는 중입니다.
그러나 지난 8월 16일 환경부와 생물자원관이 개최한 ‘백색목록 구축 이해관계자 간담회’에서 백색목록에 들어갈 종의 평가 기준을 확인하고 깜짝 놀랄 수밖에 없었습니다. 애초의 취지로는 '동물복지와 사육 난이도', '안전성', '공중보건 위해성', '생태계 위해성', '종 보전 위해성'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했으나, 연구용역 과정에서 환경부와 생물자원관은 ‘동물복지’라는 기준을 통째로 들어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정부는 오직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지와 생태교란가능성 정도만 기준에 포함시켰고, 길러도 되는 야생동물을 정하는 데에 ‘인간의 환경에서 잘 살 수 있는 동물인가’는 평가 기준으로 삼지 않겠다는 주장이었습니다.
현장에 토론 패널로 참여한 곰보금자리프로젝트는 ‘동물복지’가 백색목록 지정종 평가기준으로 들어가야 한다고 열심히 주장했습니다. 최초 취지대로 인위적 사육 방식에서 동물의 ‘삶의 질’이 보장될 수 있는가를 기준으로 삼아야 하는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공무원들은 동물복지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고, 그저 들여온 야생동물을 잘 키울 수 있게만 하면 된다는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사실 간담회장에는 ‘백색목록’ 자체에 항의하는 야생동물 산업 종사자들이 가득했고, 정부 관계자는 그들을 다독이는 데에 훨씬 집중하고 있었습니다.
야생동물을 식용이나 애완동물로 기르는 산업은 야생동물에게 재앙적입니다. 어릴 때 동네에서 개구리를 잡아 기르는 상황과 ‘산업’이 형성되어 해외에서 다양한 종을 수입하고 번식해서 판매하는 상황은 동물에게 완전히 다른 결과로 나타납니다. 산업에서 ‘상품’이 되는 동물은 예외 없이 고통받습니다. 이윤을 창출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가축종에서도 마찬가지이지만 야생동물종은 그 고통이 훨씬 큽니다. 그 고통을 얼마나 헤아릴 것인가가 이 산업의 존망을 가를 것입니다.
‘백색목록’ 지정평가기준을 만드는 일은 야생동물을 ‘상품화’하는 ‘산업’을 국가가 어느 만큼 인정할 것이냐를 정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저희는 무척 중요하게 보고 있습니다. 아직 연구용역이 진행 중이라 ‘동물복지’가 평가기준이 될 가능성은 아직 남아있습니다. 사육곰 산업이 철 지난 사업이고 나쁜 산업으로 인정되어 철폐를 앞둔 상황에서 우리는 배워야 합니다. 야생동물을 돈벌이 수단으로 삼는 산업은 결국 없어져야 합니다. 인간과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야생동물에게 존엄과 삶의 질 모두를 빼앗는 일이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백색목록은 최소한의 동물종만 포함되어야 하고, ‘동물복지’도 그 주요한 기준이어야 합니다.